작은 기념비들-퍼포먼스를 통한 버츄얼 맵핑 
mONUMENTS-virtual mapping through performance
Project Intro

작은 기념비들- 퍼포먼스를 통한 버츄얼 맵핑 mONUMENTS-virtual mapping through performance

‘페미날레’ 프로젝트는 아시아 예술의 새로운 맵핑을 위한 필드 크로스 프로젝트로, ‘아시아 + 퍼포먼스 아트 + 여성주의’ 를 주제로 온 오프라인 작업들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 작은 기념비들-퍼포먼스를 통한 버츄얼 맵핑 > 이 프로젝트 또한 거시적으로는 이러한 아시아 예술의 재편과, 다양한 필드를 횡단하는 다원적, 다학제적 수행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남성 중심의 거대 서사와 역사쓰기는 정치.경제적인 대문자의 기념비를 구축하는 데 열중해왔는데, 이 프로젝트에서는 소문자 ‘기념비 monument’ 로 상징되는 대안적인 작은 기념비들의 의미와 그를 구축하는 장르 횡단적인 방법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의 역사에서 뿐만 아니라, 한-일의 역사적 관계에 있어 특히 논쟁이 되고 있는 강제징용의 역사와 ‘위안부’의 이슈에 관해, 한국과 일본, 필리핀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퍼포먼스를 통해 새로운 작은 기념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온라인 버츄얼 맵핑을 활용하는 다원 예술적인 작업이다. 즉, 강제징용과 ‘위안부’라는 역사의 피해자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애도하고 기억하는 데 있어서 새롭게 필요한 태도와 방법에 대한 한국과 일본, 필리핀의 공동 연구이며, 역사 지리학과, 퍼포먼스 아트, 페인팅, 역사적 사료 등을 횡단하며 새로운 예술활동의 방법론과 연대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단일한 학제를 넘어서 다학제적인 접근과 전문가 협업을 통해 새로운 성과들을 내고 있는데, 이 연구를 통해서도 역사학과 사회학에 대한 자문을 바탕으로, 필드 리서치와 문헌에 대한 사료 조사를 포함하는 텍스트 작업 뿐 아니라, 작가들이 서로 생각하는 하는 바를 공유하고 퍼포먼스적인 수행적인 방법론을 통해, 이미지, 영상, 사운드, 퍼포먼스 등이 결합된 다매체적인 성과들을 도출하고, 이를 소개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장소 (도시, 강제노동 노역소, 위안소 등) 와 수행성 (예술과 퍼포먼스) 는 어떻게 만나 새로운 창조를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이 프로젝트의 중요한 실험들이다. 특히 퍼포먼스라는 시간성이 바탕이 된 무형의 예술과 장소 특정적인 작업, 역사적 공간을 결합시켜 구체적인 예술의 맥락을 만들면서, 가시적인 새로운 기념비를 만들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과 한국, 필리핀의 작가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공간과 역사, 예술을 탐험한다. 때로 성공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실패하기도 한다. 완성된 결과물을 전시하는 방법들과 다르게, 여러 가지의 과정들이 녹아든 완성되지 않은 듯하게 보일 수도 있는 우리의 실험적인 연구들을 온라인을 통해 여기에 공유하려고 한다. 

기획 연정 

'Feminale' project is a field cross project for a new mapping of Asian art, and has been steadily working online and offline under the theme of 'Asia + Performance Art + Feminism'. 
It is also based on this reshaping of Asian art on a macro level and its pluralistic and multidisciplinary performativity across various fields. Male-dominated grand narratives and history writing are usually focused on politics and economics. It has been intent on constructing monuments with capital letters, and in this project we will focus on the meaning of alternative small monuments symbolized by the lowercase 'monument' and the genre-crossing methodology of building them. 

In particular, this project is a multidisciplinary artistic work that utilizes online virtual mapping to build new small monuments through performances by artists from Korea, Japan, and the Philippines on the history of forced labor and the issue of "Comfort Women," which is particularly controversial not only in the history of Asia but also i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it is a joint study between Korea, Japan, and the Philippines on newly necessary attitudes and methods for mourning and remembering the painful history of victims of forced labor and "Comfort Women," and seeks to explore the methodology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in new artistic activities by traversing the departments of historical geography, performance art, painting, and historical documents. 
Recent studies have gone beyond a single interdisciplinary system and have produced new results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expert collaborations, which hav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platform to derive and present multi-media achievements that combine images, video, sound, and performance, as well as textual work, which includes field research and research of literature.

How can place (cities, forced labor camps, comfort stations, etc.) and performability (art and performance) meet to create new things? These are some of the project's important experiments. In particular, by combining intangible art based on the temporality of performance, site-specific works, and historical space, we wants to create a concrete artistic context and create a new visible monument. Artists from Japan, Korea, and the Philippines explore space, history, and art in their own way. Sometimes we succeed, sometimes we fail. Unlike the way it display the finished product, we want to share here our experimental studies, which may seem unfinished with various processes. 

Organizer Yeonjeong 



기획 Orgarnized by 
한국: 연정 / 일본: 다이수케 타케야 / 필리핀: 미데오 엠 크루즈
Korea: Yeonjeong / Japan: Daisuke Takeya/ Philippines: Mideo M Cruz

자문 Advised by 
요시야 마키타 Yosiya Makita (Jobu University, Japan)
 

참여작가 Participating artists

미네키 무라타 Mineki Murata (일본 Japan) 
타쿠미짱 Takumichan (일본 Japan)
라쿠엘 드 로욜라 Racquel de loyola (필리핀 Philippines)
최선 Sun Choi (한국 Korea )
연정 Yeonjeong (한국 Korea)
다이수케 타케야 Daisuke Takeya (일본 Japan)
미데오 엠 크루즈 Mideo M Cruz (필리핀 Philippines)

지원 Supported b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Korea arts council  
온라인미디어예술활동 지원
문화체육관광부
폴라아트파운데이션 Pola art foundation
방안 프로젝트 스페이스 Bangan project space


장소 Location
부산/제주도/서울 ( 한국 ) Busan/Jeju island/ Seoul (Korea)
가판 ( 필리핀 ) Gapan (Philippines)  

2022 All rights reserved by FEMINALE



Study for Tracking the Trace by Daisuke Takeya 2022
A plan for a performance on the former train track at Haeundae Atelier, Busan, South Korea.
Built in 1934, Haeundae Atelier is the former Haeundae Station. There, I will create a performance artwork by rolling myself on the previous train track and tracing its historical contexts.

 흔적을 추적하기 위한 연구
대한민국 부산 해운대 아틀리에의 옛 기차 선로에서의 공연 계획.
1934년에 지어진 해운대 아틀리에가 옛 해운대역이다. 그곳에서, 나는 이전의 기차 선로에 몸을 굴리고 그것의 역사적 맥락을 추적함으로써 퍼포먼스 작품을 만들 것이다.
Apples at Altteureu Airfield by Yeonjeong 

The moments of delirium, which are the present ritual signals sent by those who did not exist in the past and the complex tens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n 2019, I made a performance on the "Apples of Miramar Hotel" at the Miramar Hotel in Manila, the Philippines where massive genocide and rape of women were commit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pple" has two meanings in Korean, and it is an apple that means fruit apple and sorry when asking for forgiveness. And the fruit apple is a symbolic fruit on the border between good and evil, the entrance to evil that appears in the Bible verse that humans ate the fruit of good and evil in the beginning. When did human evil begin and to what extent can it be committed? 
How could the slaughter of insanity begin, raping and killing women at random? 
Reflection on the existence of a small individual art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 community and individual may be a near-failure, but in the performance work, I would rather say that I create a moment of delirium where complex tens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mixed. 
I threw 10 apples at Altteureu Airfield, where the painful history of forced mobiliz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s stained. The visualization of people who are invisible in the present but have existed in the past may have been a near-fantasy. Or, according to historian Yoshiya Makita, the performance of the tense confusion caused by the "imagination of the past" based on "historical facts" is the performance "Apples of Altteureu Airfield." White clothes are red and fluttering in the air. A ghostly white object stands. The pale souls become red flags and are as lethargic as rescue signals from the past. However, the apples are planted in the black ground and they will become good nutrients and get tangled up with peoples who have returned to the soil.

알뜨르 비행장의 사과 2022 연정 

과거에 존재했던 사람들에 대한 존재하지 않았던 자가 보내는 현재의 제의적 시그널이자 과거와 현재의 복잡한 시제들이 섞이는 정신착란의 순간들. 
나는 2019년 일제 점령기에 여성에 대한 대규모의 집단학살과 강간이 자행되었던, 필리핀 마닐라의 미라마르 호텔에서 ‘미라마르 호텔의 사과’에 대한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사과’ 는 한국어로 2가지 의미가 있는데 과일 사과와 용서를 구할 때 미안함의 의미인 사과이다. 그리고 과일 사과는 태초에 인간이 선악과를 따먹었다는 성경구절에 등장하는 악의 입구, 선과 악의 경계에 있는 상징적인 과일이다. 인간의 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어디까지 자행될 수 있을까? 
여성들을 닥치는 대로 모조리 잡아다 강간하고 죽이는 광기의 학살은 어떻게 시작될 수 있었을까 ? 
국가와 집단, 개인의 관계에서 작은 예술가 개인이 할 수 있는 존재에 대한 성찰이란 실패에 가까운 무기력한 것일 수 있지만 퍼포먼스 작업에서 나는 차라리 과거와 현재의 복잡한 시제들이 섞이는 정신착란의 순간을 창조한다고 말하고 싶다. 
일제 점령기 강제노동의 아픈 역사가 서린 알뜨르 비행장에서 나는 10개의 사과를 던졌다. 현재에 보이지 않지만 과거에 존재했었던 사람들에 대한 시각화는 모두 환영을 빌어온 것이리라. 혹은 역사학자 요시야 마키타 Yoshiya Makita 에 따르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는 ‘과거에 대한 상상력’ 이 일으키는 시제 혼동에 대한 퍼포먼가 ‘알뜨르 비행장의 사과’이다. 하얀 옷은 붉게 물들어 공중에 나부낀다. 죽은 자들의 망령처럼 하얀 물체가 서 있다. 창백한 혼들이 붉은 깃발이 되어 과거에서 보내는 구조 신호처럼 무기력하다. 그러나, 사과들이 검은 땅에 박혀있고 그들은 좋은 영양분이 되어 흙으로 돌아간 자들과 뒤엉킬 것이다.

untitled monument - lost paper plane by Daisuke Takeya 

performed at Altteureu Airfield on Jeju Island, South Korea on September 2, 2022

Altteureu Airfield has ruins of 19 remaining aircraft hangars of the former Imperial Japanese Navy Air Service. I have imagined and thought of an aircraft flying from one of the hangars and never coming back. Using a piece of paper with a photocopy of my Japanese passport, I created a paper airplane. Then, I flew and crashed it into the water and attempted to bleach it.

알트르 비행장에는 옛 일본 해군 항공대의 항공기 격납고가 19개 남아 있다. 격납고에서 날아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항공기를 상상하고 생각했다. 나의 일본 여권 사본이 있는 종이를 사용하여 종이비행기를 만들었다. 그리고 나서, 나는 그것을 날리고, 물에 떨어뜨리고 표백하려고 했다.
My back talk. RED by Mineki Murata

I learned about the history of RED HUNT ( 4.3 Jeju massacre) on Jeju Island.
The fact that th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were massacred after thinking that they were on the Russian side.
There are works that I draw by stretching out my hands on my back, transforming the landscapes, memories, time, history, etc., of the place into color images. This time, I was going to talk on the road leading to the RED HUNT monument as well. But I didn't choose to go on my own. I decided to show only the back that I show by standing and walking in the storm. I chose what I couldn't draw in the work that speaks from the back. Every time I took a step toward the monument, I dropped a red balloon. Based on the history of dropping rubber shoes to let his family know where he was. Balloons are like drops of blood. I lay down and assumed the pose of the dead, then stood up and happened to land a butterfly on my left hand in the storm. Feeling the weight of life there, I took a fighting pose at the end so that it wouldn't let go of my hand.

済州島 パフォーマンス
 
済州島でのRED HUNTの歴史を知りました。
済州島に住む人々をロシア側の思想だと決めつけて大量虐殺した事実を。
私はその場にある風景や記憶、時間や歴史等を色のイメージにかえて、自身の背中に手を伸ばしてかく作品があります。今回も同様にRED HUNT の記念碑にまで続く道で語るつもりでした。しかし私自身ですすんでかくことは選びませんでした。嵐の中で立ち、歩くことで見せる背中のみをみせることにしました。背中で語るという作品の中で描けないことをえらびました。記念碑に一歩進む毎に赤い風船を落としていきました。家族に居場所を知らせるためにゴム靴を落としていった歴史をもとに。風船は血の滴りにも似ています。横になり死者のポーズをとったあと立ち上がり、嵐の中で私の左手に偶然にも蝶々が停まりました。そこに命の重みを感じながら私の手から離れないように最後にファイティングポーズをとりました。

나의 등은 말한다. 레드.

나는 제주도 레드헌트(4.3 제주 학살)의 역사에 대해 알게 되었다.
제주도에 사는 사람들이 좌파로 몰려 학살당했다는 사실.
보통 나는 그 장소의 풍경, 추억, 시간, 역사 등을 컬러 이미지로 변형해 등에 손을 뻗으며 그리는 작업들을 한다. 이번에도 레드헌트 기념비 작업을 통해 그 이야기를 하려고 했다. 하지만 나는 내 방식을 선택하지 않았다. 폭풍우 속에서 서서 걷는 모습만 보여주기로 했다. 등이 말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로 했다. 나는 한 발짝씩 내딛을 때마다 빨간 풍선을 떨어뜨렸다. 고무신을 떨어뜨려 가족에게 그가 어디에 있었는지 알려준 역사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풍선은 피 한 방울과 같다. 나는 누워서 죽은 자의 포즈를 취하다가 일어서다가 우연히 폭풍우 속에서 왼손에 나비가 한 마리 앉은 것을 보았다. 나는 그것의 삶의 무게를 느끼며 마지막까지 나비가 내 손을 놓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Dark Tourism Parking Lot by Daisuke Takeya & Sun Choi 

performed in collaboration with Sun Choi at Altteureu Airfield, Jeju Island, South Korea on September 2, 2022

In the parking lot of the Altteureu Airfield has a billboard that explain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lace. The explanation includes a part about “Dark Tourism.” a Korean and a Japanese artist interact and learn about each other, as well as this place, in a collaborative performance artwork. It is a struggling learning process in the parking lot under heavy typhoon weather.

알트르 비행장의 주차장에는 그 장소의 역사적 맥락을 설명하는 광고판이 있다. 설명에는 '다크 투어리즘'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한국과 일본의 예술가가 공동의 콜라보레이션 퍼포먼스 과정을 통해, 이 장소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교류하고 배운다. 태풍의 혹독한 날씨 속에서 주차장에서의 고된 학습 과정이다.
Sun Choi 최선
untitled monument - at the beach part 1 by Daisuke Takeya 

performed on Jeju Island, South Korea on September 3, 2022

In the process of learning about a tragic historical event known as “済州島四・三事件/The Jeju Massacre/Red Hunt,” the massacre on Jeju Island on April 3, 1948, our Korea-Japan joint research group learned that the island had also been under a possibility of another tragedy at the end of World War 2. The Japanese Imperial military was preparing to fight against the Americans on Jeju Island in the same manner as Okinawa. As Japan surrendered, the fight against Americans never occurred on Jeju, yet both Okinawa and Jeju experienced tragedies at a similar time. This artwork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s part 1 of a diptych piece to be followed in a performance in Okinawa.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제주도의 학살 사건인 '제주 4.3/ 레드 헌트'라는 비극적인 역사적 사건을 알게 되는 과정에서 우리 한일 공동연구단은 제주도가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또 다른 비극의 가능성에 처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본 제국의 군대는 오키나와와 같은 방식으로 제주도에서 미군과 싸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일본이 항복하면서 제주에서는 미국과의 싸움이 벌어지지 않았지만 오키나와와 제주 모두 비슷한 시기에 비극을 겪었다. 이 작품은 오키나와에서 공연될 작품과 함께 만들어질 2부작의 제1부로 제주도 리서치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Study for the challenges to the reconciliations by Daisuke Takeya 2022
A plan for a performance at the Seoul memorial statue of the comfort women, “Unity for justice”, Mt. Namsan, Seoul, South Korea.
Simply wiping off the dust on the life-size statues of the late Kim Hak-sun, former comfort woman and human rights activist, looking at the three girls. The path to reconciliation seems quite complex. This performance artwork is a study of the challenges, as an individual of a Japanese descendant.

화해에 대한 도전들을 위한 연구
대한민국 서울 남산 ‘위안부 서울 기념 동상’ 에서의 공연 계획.
전 일본제국 위안부이자 인권운동가인 고(故) 김학선 여사가 세 소녀를 ( 한국, 중국, 필리핀) 바라보고 있는 실물크기 동상에 묻은 먼지를 닦는 것. 화해의 길은 꽤 복잡해 보인다. 이 퍼포먼스작업은 일본 후손인 한 개인으로서의 도전들에 대한 연구이다.
WOUNDS AND SCARS “Paghilom Series” by Racquel de Loyola

The idea was conceived during the height of pandemic lockdown which impacted humanity across the globe, devastating many lives and economic down turn elevating to more intense global crises.
Exploring on fabric works, the pieces are series of collections recollecting past personal tragedies and traumas up to present state resonating it’s connectivity to collective experiences. This transcendence of the intensely personal goes beyond the wholeness ‘ pagkaka-ugnay’ or interrelations of our collective pain, injustice, agony, sufferings evolving thru the process of healing “ Paghilom”. Healing in a wholistic sense of complexities of human existence as process of bringing together aspect of oneself. Wounds and Scars “ Paghilom”, a healing process for wholeness of one’s body, mind and spirit, a journey for rejuvenation, renewal, rebuilding and recovery.

상처와 흉터 "파길롬 시리즈"

이 작업의 아이디어는 많은 생명을 황폐화시키고 경제 침체를 더 가속화시켜 글로벌 위기로까지 내몰았던, 전 세계 인류에게 영향을 미친 코로나 봉쇄의 절정기에 착안하였다. 
패브릭 작업을 해오며 만들어진, 이 작품들은 과거의 개인적인 비극과 현재 상태까지의 트라우마를 반영하는 일련의 컬렉션으로, 집단 경험과의 연관성 또한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강렬하게 개인적인 것의 초월성은, '파길롬', 치유하는 과정을 통해 진화하면서 우리의 집단적 고통, 불의, 고통, 고통의 상호관계나 전체성, 'pagkaka-ugnay’ 을 넘어선다. 자신의 측면을 하나로 모으는 과정으로서 인간 존재의 복잡성에 대한 전체론적 의미에서의 치유. 상처와 흉터 "파길롬"은 자신의 몸과 마음과 영혼의 온전한 치유 과정이며, 회춘, 갱신, 재건, 회복을 위한 여정이다. 

Sheppard * by Mideo M Cruz

*Sheppard: a master of prison escape who was living in London
셰퍼드: 런던의 괴도로 탈옥의 명인

Washing brains to prevent brainwashing/ Remembering to remember the forgotten memories by Daisuke Takeya, featuring brain sculptures by Mideo M Cruz

September 2022
Performance Collaboration Project for Gunita R2 monumentED
Bangan Project Space, Philippines

The performance starts in complete darkness. Mideo M Cruz’s multiple sculptures of brains made of concrete are excavated under a single light bulb lit and swung under an open sky. While the light moves back and forth, the brains get washed with bleaches, but we only see their silhouettes and do not know whether they were cleaned yet. Are we moving across time or memories?
Then the performance moves on to different locations.
The second stop was roasted pork just being consumed by humans. One of the washed brains gets connected with it by the hand of the artist, but he wore gloves. Goodbye to another living soul.
The third, the final stop was outside under a big tree. Here again, a single light bulb hung from a tree branch. The artist wears red lipstick, but all over his face. Rice excavated from a mountain of piled-up stones. The artist then consumed it but soon it came out when he wiped off the lipstick red from his face. The rice is then turned pink and the artist covered the brain with it. Would the “brain-washed” brain be alive again? The artist then lit a candle and placed it on the lively concrete brain on the peak of the piled-up stones. And the lightbulb started swinging here as well, and finally, hit and snapped the candle. The night is completely dark again.

망각을 막기 위한 뇌 세척 / 잊혀진 기억을 기억하기

퍼포먼스는 완전한 어둠 속에서 시작한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Mideo M Cruz의 여러 개의 뇌 조각들은 탁 트인 하늘 아래에서 빛나고 움직이는 하나의 전구 아래에서 발견된다. 빛이 왔다 갔다 하는 동안, 뇌는 표백제로 씻겨지지만, 우리는 그들의 실루엣만 볼 뿐 그들이 청소되었는지 아직 모른다. 우리는 시간이나 기억을 넘나들며 움직이고 있는가?
그런 다음 공연은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
두 번째는 돼지고기 구이였다. 씻은 뇌 중 하나가 예술가의 손에 의해 그것과 연결되지만, 그는 장갑을 꼈다. 하나의 다른 살아있는 영혼에게 안녕을 고한다. 
세 번째, 종착역은 큰 나무 아래였다. 여기서도 전구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었다. 작가는 빨간 립스틱을 그의 얼굴 전체에 발랐다. 산더미처럼 쌓인 돌에서 나온 쌀. 작가는 그것을 먹었지만 곧 그의 얼굴에서 빨간 립스틱을 닦아내자 쌀도 함께 나왔다. 쌀은 분홍색으로 변하고 작가는 그것으로 뇌를 덮는다. 세척된 뇌가 다시 살아날까? 그리고 작가는 촛불을 켜서, 쌓아올린 돌의 꼭대기에 있는 생동감 넘치는 콘크리트 뇌 위에 올려놓았다. 전구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마침내 촛불을 때리고 촛불은 넘어졌다. 밤이 다시 완전히 어두워졌다.

Comfort man by Mineki Murata

At the War & Women's Human Rights Museum, I learned about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comfort stations, and Japan's attempts to distort history. I also participated in the sit-in at the Wednesday demonstration in Seoul. I am Japanese and male. I don't know how the comfort women feel. It is immeasurable that you will not be able to accept that fact until you die while carrying that scar for the rest of your life.
The place I stayed in the Philippines was similar to what I imagined to be a comfort station.
We entered the room and did a one-on-one performance. I told her to write your name on the mirror, and I scratched the mirror with a ballpoint pen to erase the letters. I and the participants are reflected in the mirror, and the name disappears.
I gave my performance about 12 peoples. 

War & Women’s Human Rights Museumで慰安婦の歴史や慰安所のこと、日本が歴史を歪めようとしていることを知り、改めて深く心を傷つけました。水曜集会での座り込みも参加しました。私は日本人であり男性です。慰安婦の方々の気持ちはわかりません。その傷を一生抱えながら死ぬまでその事実を認められないとは計り知れません。
フィリピンの滞在先は私が想像する慰安所に近いものでした。
部屋に入り一対一のパフォーマンスを行いました。鏡にあなたの名前をかいて下さいと伝え、私はその文字を消すように鏡にボールペンで傷つけました。鏡には私と参加者が映り名前は形をなくします。

서울의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에서, 나는 위안부의 역사, 위안소, 그리고 일본의 역사 왜곡 시도에 대해 배웠다. 서울에서 열린 ‘수요시위’ 농성에도 참여했다. 나는 일본인이고 남자이다. 위안부들이 어떻게 느꼈을 지 잘 모른다. 평생 그 상처를 짊어지고 살아가면서 죽을 때까지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는 것은 내가 가늠할 수 없는 일이다. 
내가 필리핀에서 머물렀던 곳은 상상했던 위안소와 비슷했다.
나는 방에 들어가서 일대일 공연을 했다. 나는 관객들에게 거울에 이름을 쓰라고 했고, 글자를 지우기 위해 볼펜으로 거울을 긁었다. 나와 참가자들이 거울에 비치고, 그 이름은 사라진다.
나는 퍼포먼스 동안, 약 12명의 사람들과 함께 했다.

Beyond convergence by Racquel de Loyola and Daisuke Takeya

September 2022
Performance Collaboration Project for Gunita and R2 monumentED. 
Bahay na Pula, San Ildefonso Bulacan, Philippines

PRE TEXT:
The site, Bahay na Pula (Red House) is a former large plantation dwelling house, remembered for the mass rapes and murders committed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2.
In this simultaneous collaboration work, de Loyola performed intuitively as if she was a monument chained in the site and representing the souls of the victims as a Filipino woman, while Takeya performed to acknowledge the past as atonement by a descendant of Japanese ancestry.
An intuitive flux of action regardless of conflicts and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human condition. A point in a network in which lines, connections, and pathways branch or intersect towards a central point of direction. A process or state of evolution where ideas and views on a particular issue can be exchanged. The action moves toward union or uniformity, merging point, conjunction, intersection, crossing, conflux, connection, concurrence, and unification.

레드 하우스(Bahayna Pula)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군인들이 저지른 집단 강간과 살인으로 기억되는 장소이다. 

이번 공동 작업에서는 로욜라가 현장에 묶여 필리핀 여성으로 희생자들의 영혼을 대변하는 기념비처럼 직관적으로 퍼포먼스를 하였고, 타케야는 일본인의 후손으로 과거를 속죄로 인정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인간 조건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갈등과 차이와 상관없이 직관적인 행동의 흐름. 선, 연결 및 경로가 방향의 중앙 지점을 향해 분기하거나 교차하는 네트워크. 특정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와 의견이 교환될 수 있는 진화 과정 또는 상태. 행동은 결합 또는 균일성, 결합점, 연결점, 교차점, 교차, 혼합, 연결, 동시성 및 통일을 향해 이동한다. 

Empty can, sound installation by Mideo M Cruz
Clocks at Red House by Yeonjeong

What time does the clock summon? 
There are three clocks here. The clock that has stopped, the current clock, the clock that will be left in this place...
The awful times of this red house that raped and slaughtered women in the past are mixed. As a current performance artist, I try to do something with a sunflower on, but it doesn't work. Fragments of images of past, present, and future tenses are mixed like delirium, but the solid ground is speechless. I try sprinkling white powder on the ground.

레드 하우스의 시계들

시계가 소환하는 시간은 무엇인가? 
여기 세 개의 시계가 있다. 멈춰버린 시계, 현재의 시계, 이 장소에 남겨놓고 떠날 시계…
과거 여성들을 강간하고 학살했던 끔찍했던 이 레드 하우스의 시간들이 뒤섞인다. 현재의 퍼포먼스 작가인 나는 해바라기 한 송이를 매고 뭔가를 해보려고 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과거, 현재, 미래 시제들의 이미지의 파편들이 정신착란처럼 뒤섞이지만, 굳게 굳어버린 땅은 말이 없다. 땅 위에 하얀 가루들을 뿌려본다. 

Site seeing by Murata Mineki with Yoshiya Makita 

Historians and artists see the place with their own eyes. Our vision is different. Each one looks around. I tied my two legs together. We care about different things, so we move forward lamely.

역사학자와 예술가는 그 장소를 그들의 눈으로 본다. 우리의 시각은 다르다. 저마다 주위를 둘러본다. 나는 두 다리를 그와 함께 묶었다. 우리는 서로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Ephemera: Creating Little Monuments in the Resonance of the Past and Present 
by Yoshiya Makita
The monument is an ideological mechanism that operates as a site of political contestation over the meanings of the past. Memorials, statues, and other monuments could function as an index referring to past events. Installed in public space, these monuments often embody collective memory of a community. Weaving collective memory is a sifting process in which certain sets of memories are selectively preserved as constituting legitimate part of community history while others are discarded as trivial and unimportant and thus left to be forgotten. Ruling groups often attempt to incorporate their stories into the core of collective memory by erecting eulogetic monuments, whereas their political opponents express dissension against these attempts and sometimes construct counter-monuments of their own. The questions of monument have triggered heated debates among diverse groups with different political backgrounds and thence become the “main battleground” in which conflicting views compete with each other over the legitimate interpretation of the past.

Left behind in these political controversies, however, are fragmentary memories of ordinary people. Indeed, every person has diverse and unique histories of his/her own, which could disclose the meaningful past by themselves. Through a series of field research in Busan, Jeju, and Seoul, this project explored these small histories of lived experience that could work as “proto-monument,” the fluid constellation of memories in an intangible state of dunamis, which has not yet been incorporated into, or in some instances may drop out of, dominant narratives of communal memory represented in capital-letter Monument. Though seemingly apolitical and insignificant to the larger currents of history, these tiny fragments of memories in fact could play a critical role of a “small leak” that would sink a great ship of dominant discourses in historiography. The small histories of ordinary people would mark a breakthrough to disrupt the present configur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thus to undermine grand narratives of history from bottom up.

Approaching fragmentary memories of those people who lived in the distant past necessitates the extended exercise of historical imagination. Both memory and imagination could work as a tool for remembering things that have been already lost from the surface of the present world. Yet, whereas one’s memory confines itself to the remembrance of one’s own experience delineated by specific time and space, imagination nullifies existential boundaries that lie between one and the other and often go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 the memory, I can remember only those things I personally experienced in the past. In contrast, I can imagine anything without constraints of personal experience in the past. Still, historical imagination differs from other forms of imagination in a way that it requires tangible traces of the past a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its proper functioning. Therefore, gathering a myriad of ephemera that contain traces of the past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the project of creating alternative monuments on the ground of historical imagination.

By collecting ephemera of the past in the present landscape, participating artists attempted to create alternative monuments in the transient sequence of performance. According to Korean artist Yeonjeong, the essence of performance art is “devotion to the moment.” Through their respective versions of “devotion,” participating artists tried to disturb the regular chronology of the past and present, to juxtapose diverse impressions of past ephemera and present perception in a single moment, and to em-body alternative monuments by the creative confusion of past and present tenses in the elusive transience of live performance. Yeonjeong metaphorically characterizes this unique amalgam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in live performance as a product of “delirium.” In a state of deliriu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is blurred, memory and imagination infiltrate each other, and lived experience is mixed with the imagined past. Performance in delirium hence becomes a revolutionary act: The delirium erodes the present reality of the world, enables us to dream about different modes of society, and thus provides an ideological foundation to dismantle existing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order. Incarnated in this delirious act of performance, a phantasmagoria of alternative monuments emerges as a visionary index referring to latent forms of the world that could have existed in the past and would come in the future.


하루살이들: 과거와 현재의 공명 속에 작은 기념비를 만드는 것

요시야 마키타

기념비는 과거의 의미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작용하는 이념적 메커니즘이다. 기념비, 동상, 그리고 다른 기념물들은 과거의 사건들을 언급하는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공공 공간에 설치된 이 기념물들은 종종 공동체의 집단적 기억을 구현한다. 집단기억을 구축하는 데 있어, 특정한 기억들이 공동체 역사의 합법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보존되는 반면, 다른 기억들은 하찮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버려져 잊혀진다. 지배 단체들은 종종 기념비를 세워 그들의 이야기를 집단 기억의 핵심에 포함시키려고 시도하지만, 반면 그들의 정적들은 이러한 시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때로는 그들 자신의 반대 기념비를 짓기도 한다. 기념비 문제는 서로 다른 정치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집단들 사이에서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이에 따라 과거의 정당한 해석을 놓고 서로 상반된 견해들이 경쟁하는 "주요 전쟁터"가 되었다.

그러나 이런 정치적 논란 속에 남겨진 것은 서민들의 단편적인 기억이다. 실로 사람마다 다양하고 독특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의미 있는 과거를 스스로 드러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부산, 제주, 서울에서 일련의 현장 조사를 통해 아직 공동 밈의 지배적인 서술에 통합되지 않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삭제될 수도 있는 무형적 상태의 기억의 유동적인 별자리인 "프로토 모뉴먼트"로 작용할 수 있는 이러한 살아 있는 경험의 작은 역사를 탐구하였다. 대문자 기념비로 대표되는 이야기, 비록 역사의 더 큰 흐름에는 정치적이고 중요하지 않아 보이지만, 이 작은 기억 조각들은 사실 역사학에서 지배적인 담론의 거대한 배를 침몰시킬 "작은 유출"로써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역사는 집단 기억의 현재 구성을 교란시키고 따라서 역사의 웅장한 서사를 밑바닥부터 무너뜨리는 돌파구를 마련할 것이다.

먼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의 단편적인 기억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확장된 역사적 상상력의 연습이 필요하다. 기억과 상상력 둘 다 현 세상의 표면에서 이미 잃어버린 것들을 기억하는 도구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사람의 기억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의해 묘사된 자신의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 국한되는 반면, 상상력은 서로의 사이에 놓여 있고 종종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실존적 경계를 무효화한다. 그 기억 속에서는 내가 과거에 개인적으로 겪었던 그 일들만 기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나는 과거의 개인적인 경험의 제약 없이 무엇이든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상상력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한 필수적 토대로서 과거의 가시적 흔적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상상력과 다르다. 따라서 과거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무수한 덧없음(하루살이들)을 모으는 것이 역사적 상상력의 바탕 위에 대체 기념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의 출발점이 되었다.

참여 예술가들은 현재의 풍경 속에서 과거의 덧없음을 수집함으로써, 연결적 퍼포먼스로 대체 기념비들을 만드려고 시도했다. 한국 예술가 연정에 따르면, 퍼포먼스 예술의 본질은 "순간을 향한 헌신"이다. 참여 작가들은 각자의 '헌신'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규칙적인 연대기를 교란하고, 과거와 현재의 인식에 대한 다양한 인상을 단 하나의 순간에 병치하고, 퍼포먼스 예술의 불가해한 연결성을 고려하며, 과거와 현재의 시제의 창조적 혼란에 대한 대체 기념비들을 형상화하려 했다.  작가 연정은 라이브 퍼포먼스에서 과거와 현재의 독특한 혼합을 "delirium 착란"의 산물로 비유한다. 정신이 혼미해진 상태에서 과거와 현재의 구분이 흐려지고 기억과 상상이 서로 침투하며 살아온 경험이 상상의 과거와 뒤섞인다. 따라서 정신 착란적인 퍼포먼스의 행위는  혁명적인 행위가 된다. 정신착란증은 세계의 현재 현실을 침식하고, 우리가 사회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꿈을 꿀 수 있게 하며, 따라서 기존의 사회, 정치, 문화 질서를 해체할 수 있는 이념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 정신 나간 퍼포먼스 행위를 체화하면서, 대안적인 기념비에 대한 이러한 일련의 환상과 환영들은, 과거에 존재하였고 또 미래에 올 세계의 잠재된 형태를 가리키는 비전적 지표로 떠오른다. 

  • FEMINALE 페미날레

  • FEMIS-Feminism Moving Image Screening 


    Feminism + Asia + Performance art
    ‌페미니즘 + 아시아 + 퍼포먼스 아트

핑크로부터의 사색, 연정/ The speculation from pink,  Yeonjeong

Circle (Stone and fallen leaves), 박주영 Juyoung Park

씻김, 류미경 / Purification rite, Mikyung Ryu

Trans mission * Transition, 라쿠엘 드 로욜라 Racquel de Loyola

오점,  라쿠엘 드 로욜라/ Blemish, Racquel de Loyola

한달에 한번씩, 고통 , 다이수케 타케야 / Once A Month Torture, Daisuke Takeya

향수병 상자 여행 – TN360 트럭, 워킹 그래스 에그리컬쳐/ Homesick box travel-TN360, Walking grass agriculture

메신저,에팟 라조와나 레야/ Messanger, Efat Razowana Reya

SIPAF festival compilation,  마리아 빅토리아 무노즈 카스틸로 María Victoria Muñoz Castillo

CB Blue, 이브 탄 Eve Tan

쓰레기 여왕, 이브 탄 / trashy queen @shenzhen, Eve Tan

줄넘기/연정 Rope skipping/Yeonjeong

환경 이슈/노 난 노안 홈 Environmental issue/Naw Nan Noan Hom

결혼/타이타 Marriage /Thyitar

고통과 행복/푸 핀 Pain and Happiness/Phoo Pwint

영향/사무 라임 EFFECT/Samu Rhyme

어두운 세계/모 텟 Dark World/Moe Htet

충만함으로 자유하기/판다 Being Free with Satisfaction/ Panda

나를 구원하소서/ 코응 맷 투 Save Me/Kaung Myat Thu

예술가 같은 여자/ 카잉 수 Woman like an Artist /Khaing Su

A B O U T


F  E  M  I  N  A  L  E      페 미 날 레 

FEMIS-Feminism Moving Image Screening

Feminism + Asia + Performance art
Feminale is based on feminism, Asia and performance art 
and seeks to a new platform to intersect with nationality, gender, race and art.   
‌"nale" means "fly" by Korean. 

‌01 ver.
‌8 nations, 17 artists, 20 works. 

‌페미날레는 페미니즘, 아시아, 퍼포먼스 아트를 바탕으로
‌국경, 성차, 인종, 예술 등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플랫폼을 추구합니다.
‌"날래"는 한국어로 "날고싶다"는 뜻입니다. 

‌01 ver. 에서는
 8개국 17명 작가의 20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Produced by  Yeonjeong

Supported by  Korea Art Council
Busan Cultural Foundation


기획   연정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부산문화재단


G E T   I N   T O U C H


feminale.asia@gmail.com

SUBMIT
F I N D   M E   O N

INSTAGRAM               FACEBOOK


Yeonjeong 연정

페미날레 기획  
 
한예종과 미국 위스컨신대학원에서 실험 영화와 사진, 시각 이론 등을 공부하고, 퍼포먼스와 영상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미디어 작품을 만들어 왔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에서 집행위원 및 큐레이터를, 한예종, 성균관대, 호원대, 서울예대 등에서 외래교수 및 강사를 역임하였다. 태국1회, 대만2회, 국내 4회 등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레지던시 : KAIST(카이스트, 한국과학기술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미얀마, 베트남 등에서 다양한 레지던시를 경험했고, the above clouds intl. live art festival (중국), 비바엑스콘 비엔날레 (필리핀 ), 방콕 비엔날레 (태국), 제로 플랫폼 국제 퍼포먼스 페스티벌 (미얀마), Responding 2 국제 퍼포먼스 페스티벌 (일본), 아솔로 국제영화제(이탈리아), 지힐라바 국제영화제(체코), 베오그라드 다큐멘타리영화제 (세르비아), 로테르담국제영화제(네덜란드), 앙카라국제영화제(터키), 브라질 상파울로 현대미술제 등 국내외에서 작품을 선보여왔다. 2018년부터 페미니즘기획플랫폼 ‘페미콜로지’를 기획하면서 한국-미얀마 교류전과 페미콜로지 국내 2회행사, 페미콜로지 대마도 등의 작업들을 만들어내었고, 아시아, 페미니즘, 퍼포먼스를 기초로 하는 페미날레를 기획하고 있다.
 
Producer, FEMINALE
Yeonjeong deals with installation, photography, sound, text and interdisciplinary mediums in an experimental manner, with a particular focus on performance and video. She aims to make artistic interventions in ordinary life, as well as bring out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her performances both critically and humorously.
She completed an MFA in film from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USA and she work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unggyunggwan universit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Kaywon university, Howon University, etc
residencies include: ( Taiwan, Thailand, Myanmar, Indonesia, Philippines, Myanmar and many places in Korea) and has exhibited in the above clouds intl. live art festival(China); VivaExcon Biennale (Philippines ); Bangkok Biennale (Thailand); Zero platform intl. performance festival (Myanmar); Responding 2 intl. performance art festival (Japan); Rotterdam intl. film festival (NL), San Paulo intl. short film festival (Brazil); Ankara intl. film festival (Turkey); L`etrange intl. film festival (France), Aurora (UK); Asolo intl. film and video festival (Italy); Jihilava intl. film and video festival (Czech) and Belgrade intl. documentary and video festival (Serbia) etc.
 
Website: www.yeonjeongkim.com

Juyoung Park 박주영

나는 사회적인 소통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감각 등을 자신의 예술적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오랫동안 대상의 움직임과 점, 선, 색과 같은 시각적 요소를 회화나 데생은 물론 퍼포먼스를 주로 해왔다. 어렸을 때 청각장애인으로서 사람들의 입 모양을 보고 듣는 훈련을 통해 사회에서 소통하는 법을 알아가는 단계를 밟으면서 표현한 작업은 다양했다. 고립된 정체성을 벗어나 타인과 소통으로 표현한 작품 중 2003년 < 고백하세요 >와 2019년 개인전 < 쇠귀에 경읽기 >가 있다. 키워드 [소통] 뿐만 아니라, 사물의 물성을 통해 사회 속에 놓여진 양면적인 감각을 드러낸다.
몸과 정지된 사물간의 움직임은 시간적 공간적 배치 속에서 감각을 극대화한다. 사물과 사물 자체의 접촉하는 시간적인 인과행위를 통해 삶의 모습을 반추한다.
 
I express various experiences and senses of social communication in my own artistic language. For a long time I have worked mainly on paintings, drawings, and performances with the movement of objects and visual elements such as dots, lines, and colors. Since I was born, as a deaf person, there were various works that I expressed as I took step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in society through training to see and hear the shape of people's mouths. Among the works expressed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beyond their isolated identity include performances such as < Confess to me > in 2003 and the solo exhibition < Reading scripture to a cow’s ear > in 2019.
In addition to the keyword [communication], I reveal the ambivalent sense placed in society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ings.
The movement between the body and the stationary object maximizes the sense in the temporal and spatial arrangement. I reflect on the appearance of life through the temporal causality of contact between things and things themselves.

MiKyung Ryu 류미경

이미지무브먼트웍스 대표.
자연+사람+예술+창작의 고리를 몸으로 만드는 사람
 
Director, Image Movement Works
She defines herself as a woman who rings with nature, art and creativity through body.

Racquel de Loyola 라쿠엘 드 로욜라 (Philippines 필리핀)

Racquel de Loyola 라쿠엘 드 로욜라는 필리핀의 페미니스트 작가로, 현대사회의 여성적인 이슈, 정체성, 식민화, 이주, 전치, 자본주의, 세계주의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09년 필리핀 마닐라의 CCP 13 예술가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독일, 일본, 미국 뉴욕, 뉴저지, 로스엔젤레스, 태국,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국가들에서 작업을 선보여 왔다.  
 
Racquel de Loyola is an artist based in the Philippines who’s works primarily addresses women’s issue, identity, colonization, migration, displacement, capitalism, globalization and the present state of affairs. She was shortlisted artist for the 2007 Ateneo Art Awards in Manila Philippines.  A recipient of the Cultural Center of the Philippines 13 Artists Awards in 2009.  She has presented her works in various exhibitions and performance art festivals locally and abroad.
 
eatempire@gmail.com
http://eatempire.wixsite.com/mysite/performance 
http://eatempire.wixsite.com/mysite/artworks



Daisuke Takeya 다이수케 타케야 (Canada- Japan 캐나다-일본)

Daisuke Takeya 다이수케 타케야는 캐나다 토론토와 일본 도쿄를 베이스로 하는  작가이며, 큐레이터, 교육자, 콜렉터, 커뮤니티 활동가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현대사회의 본질과 그 유사성들을 탐구하며 모든 이중 의미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그는  Responding: intl.performance festival and meeting 의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세계 여러나라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개인작업과 프로젝트들을 선보여 왔다. 특히 2019년 Responding 페스티벌을 통해서 필리핀 마닐라의 전시 성폭력 위안부 지원단체인 Lila Pilipana 와 교류를 하며 세계 여러 작가들과의 작업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토론토 현대미술관, 도쿄 사진 미술관, 후쿠시마 현대미술 비엔날레, 야마가타 비엔날레, 필리핀 SIPAF, 미얀마 제로 플랫폼 국제 퍼포먼스 페스티벌, 중국 Above the clouds intl. live art festival, 뉴욕, 독일, 네팔, 동유럽, 남미 등을 포함한다.
 
Daisuke Takeya is a Toronto-Tokyo based interdisciplinary artist, and off time curator, collector, art educator and community advocator. Takeya’s praxis is comprised of the exploration of nature and plausibility in contemporary society, and hinges on all kinds of double meanings. 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ternationally, including shows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ronto; the Japan Foundation, Toronto;
Scotia Bank Nuit Blanche, Toronto; SVA Gallery, New York, US; Wagner College Gallery, New York, US; and the Chongqing Changji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na. Takeya has had work exhibited across Japan, including at the Fukushima Contemporary Art Biennial; the Saison Art Program/ Saison Museum of Modern Art, Tokyo; Roppongi Art Night, Tokyo; and the Prince Takamado Gallery, Embassy of Canada, Tokyo. He is the representative and the curator of Field Trip Project/ Field Trip Project Asia, POWER TO THE PEOPLE, Fukushima NO ALICE, Multi Layered Surfaces, and DAICHI Projects. In 2018-2019 season Takeya participated in the Yamagata Biennale, Yamagata, Japan; Ubud Writers and Readers Festival, Bali, Indonesia; SIPAF (Solidarity in Peace Performance Art Festival), Manila, Philippines; ZERO PLATFORM: A FESTIVAL OF PERFORMANCE ART 2018, Yangon, Myanmar; undisclosed territory #11, Solo, Indonesia; Canon New Cosmos of Photography 2018 (Honorary Mention Award Winner), Tokyo Photographic Museum; ECHT JETZT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Stuttgart - Tübingen - Reutlingen, Germany; Above the Clouds International Live Art Festival, Nanchang, Kunming, ChuXiong, Lijiang, China; Kathmandu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2019, and erected and directed Responding: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and Meeting, Tokyo-Fukushima 2018, Osaka-Manila 2019.

Walking Grass Agriculture 워킹 그래스 에그리컬쳐 (Taiwan, 대만)

< Walking Grass Agriculture 워킹 그래스 에그리컬쳐  > 는 첸한셍, 류싱유 두 명의 작가가 2014년 시작한  팀으로 농업과 예술을 가로지르며, 시각예술과 디자인, 기획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첸한셍은 디자인과 뉴미디어 아트를, 류싱유는 예술사와 기획자, 기자, 비평가 등의 활동을 집중하고 있다. 민속예술과 그들의 이주, 세대 등에서 배우며 관심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그들의 작업은 농업의 경험을 자신들만의 예술적 방법론으로 바꾸면서, 지형학과 모더니티, 물질문화 등을 결합하는 데 있다. 최근에는 생태학적인 환경과 도시의 변화, 젠더 이슈 등을 포함한다.
2018년 타이페이 아트 어워드에 선정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농업예술축제를 개최해오고 있다. 그들의 작업은 타이베이 현대미술관, 가오슝 Pier2 아트센터, 태국 방콕, 홍콩 등 다양한 곳에서 소개되었다.
 
Walking Grass Agriculture started in 2014 as a team focuses on visual art, design and curation. The main members are Han-Sheng CHEN and Hsing-You LIU, specialized in new media art and art history. Emphasized in resident experience and observation, full of interest in learning folk arts and its migration and generation. Their research combines the topography, modernity and material culture, molding the farming experience into their own artistic methods. In recent years, they concern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 urban changes and gender issue.
 
2019“Farming&Arts Festival-Do U have Free Time”, Dashe, Kaohsiung, Taiwan
2019“ Street Fun, Fun Street— Inhale! Exhale! What a Quality Life Really Entails” , Taipei MOCA, Taipei, Taiwan
2018“Taipei Art Awards”, Taipei Fine Arts Museum
2018“Diversity Via Nature: Religion, Gender or Art?” Tentacles, Bangkok, Thailand
2017“Attachment-Detachment: The fluxes of subjects and objects- Hong Kong Taiwan Art Exchange Exhibition”, Cattle Depot Artists Village, Hong Kong, China

Efat Razowana Reya 에팟 라조와나 레야 (Bangladesh, 방글라데시)

1990년 방글라데시 출생. 어린 시절부터 그녀는 예술에 이끌렸습니다. 그녀의 여정은 다른 사람들과 다릅니다. 그녀 어머니의 정신 건강의 이유로 그녀는 유년기의 오랜 시간을 정신 병원과 친척들의 집에서 자랐습니다. 어릴 때 그녀는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18살의 나이에 고향을 떠나 Dhaka 대학 캠퍼스에서 생존을 위해 그녀는 예술과 거리를 두고 학생 정치에 참여했습니다. 2013년 졸업하는 해에 그녀는 자신이 정치가 아닌 예술에 속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녀는 예술과 함께 새로운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2015년 그녀는 나라 밖에서 예술을 탐구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을 여행하기 시작했고 나라들 간 문화적 차이를 찾습니다. 2017년 그녀는 중국의 쿤밍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방글라데시 Dhaka 대학에서 순수미술 학사 학위(2012년)와 순수미술 석사 학위(2014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그녀는 중국의 Yunnan 윈난 예술 대학에서 뉴 미디어 최고 교육 과정을 시작하였습니다.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현지와 국제적 맥락 안에서 그녀는 자신만의 경험과 장소, 역사에 관련된 복합적인 예술 작업을 탐구하는 것에 매료됨을 느낍니다. 그녀는 판화,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를 통해 다양한 표현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그룹 전시와 워크숍, 장소 특정적 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Born in Bangladesh,1990. from her childhood, she was attracted by art. Her journey was different from others. A long period of her childhood she grew up in a mental hospital or relatives' house because of her mother’s mantel health. In early age, she lost her father. She left her city at the age of 18, to survive herself on the campus of Dhaka university she makes distance with art and joined in student politics. In the year of 2013 after graduation she realized, she belongs to art, not politics. She started her new journey with art. In the Year 2015, she thought that she needs to explore her journey out of the country. She started traveling around Asian countries and try to find out cultural differences among countries. She started a new life in Kunming a city of China year in 2017. She holds a BFA in session 2012 and completed her MFA in printmaking in 2014 from the faculty of fine art, Dhaka University, Bangladesh. Now she started her highest education in new media at Yunnan arts university, china. She has inspired her to explore multidisciplinary art practices in a local and global context of modernity, postmodernity in terms of her own experience, place, history. She has explored several ways of expression through print, installations, performance, video art. Her academic period, she has participated in many group exhibitions, workshops, site-specific art project.

María Victoria Muñoz Castillo 마리아 빅토리아 무노즈 카스틸로 (Switzerland-Colombia, 스위스-콜롬비아)

마리아는 다재다능한 콜롬비아-스위스 예술가입니다. 그녀는 보고타에 있는 유니버시아드 호르헤 타데오 로자노(Universidad Jorge Tadeo Lozano)와 유니버시아드 드 로스 안데스(Universidad de Los Andes)에서 플라스틱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녀의 프로젝트는 Universidad de Los Andes의 예술 학부에서 2009년 최고의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Oh“ "Culto" 설치 및 비디오 공연은 2010년 독일 Szpilman Award가 선정한 베스트 6 예술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무노즈 카스틸로의 작품은 인도, 치앙마이(태국), 뉴욕(미국),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 마닐라, 리파, 네그로스 섬, 필리(엔젤레스 시), 아마데오-카비테(필리핀), 양곤(미얀마), 보고타(콜롬비아)에서 전시되었습니다.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시각적, 개념적 기술을 다듬으면서 그녀는 다양한 매체들과 함께 작업합니다. 무노즈 카스틸로는 공연, 사진, 그림, 글, 비디오, 비디오 설치 등을 이용하여 기억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민하고, 자아의 파편화, 외모와 정체성의 개념, 육체와 폭력에 대해 성찰합니다. 그녀는 다른 맥락과 상황을 통해 다른 사람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녀는 사회적으로 ”정상“ 이라고 규정된 모든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차이“에 대해서 성찰합니다. 무노즈 카스틸로는 작품으로 세상에 대한 이해를 나누는 것을 즐기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와 당연시 되는 가정들에 대해서 질문하게 만듭니다.
 
She is a versatile Colombian-Swiss artist. Her B.A. in Plastic Arts was received from Universidad Jorge Tadeo Lozano and Universidad de Los Andes in Bogotá. Her project work was selected as the best thesis in the year 2009 by the Faculty of Arts at Universidad de Los Andes. “Oh””Culto” an installation and video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one of the best six art projects by the Szpilman Award in Germany year 2010.
Muñoz Castillo’s work has been exhibited in India, Chiang Mai-Thailand, New York - USA, Buenos Aires - Argentina, Manila, Lipa, Negros Island, Pili- Angeles City, Amadeo-Cavite - Philippines, Yangon-Myanmar, and Bogotá-Colombia. Refining her own visual and conceptual skills through experience, she works with a varied array of media. Using performance, photography, painting, writings, video and video installation, Muñoz Castillo reflects on how the memory works, the fragmentation of the self, the notions of appearance and identity, the body and the violence. She is deeply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others through different contexts and situations. She questions everything that has been socially built as “normal” making a reflection about the difference. Muñoz Castillo enjoys sharing h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rough her work and makes others question their positions and naturalized assumptions.
 
www.mvmc12358.ch



Eve Tan 이브 탄
(Singapore, 싱가포르

이브 탄은 Nanyang 난양 순수예술 아카데미에서 공부하던 시절에 퍼포먼스를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연극, 영화사, 그리고 지역사회 예술 분야로 옮겨 일하게 되면서 퍼포먼스 작업을 잠시 쉬었고, 이것은 그녀가 싱가폴에서의 예술 실천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성찰하는 여정이 되었습니다. 예술 활동의 목적은 무엇인가? 당신은 누구에게 다가갈 것인가? 갤러리의 예술 작품은 오직 특정한 수의 관객에게만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더 넓은 층의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포럼 극장이나 심지어 다큐멘터리와 같은 형식과도 매우 다릅니다. 2014년에 그녀는 “약간의 매력(A Little Bit of Oomph!)”이라는 전시를 기획했습니다. 그것은 지역의 여성들을 예술로 가져오는 전시였습니다. 그녀는 이 전시의 오프닝에서 여성들의 삶을 축하하는 “나는 모든 여성이다.”라는 퍼포먼스 작품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퍼포먼스 여정이 시작됩니다…
 
Eve started exploring performance art during school days at Nanyang Academy of Fine Arts. She took a break from performance art to work in theatre, film industry and community arts, a journey that she has questioned and reflected about practicing arts in Singapore. What is the purpose of doing art? Who will you be reaching out to? An artwork in a gallery could only reach a certain number of audiences. It is very different from forms such as Forum Theatre, or even a documentary, where they could reach a wider audience. She curated an exhibition entitled A Little Bit of Oomph! in 2014. It was an exhibition which brought women in a community to the arts. She did a performance art piece entitled I’m Every Woman to celebrate the life of women during the opening of the exhibition. And her performance journey begins…

SamuRhyme 사무 라임
 (Myanmar 미얀마)

어린시절에 재활용 재료들을 활용한 설치, 회화작업들에 열정을 쏟았다. 그러나 10대때 회화를 그만두었고, 대학에서 기계전자공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다. 꽃 판매, 빵 공장의 홍보 매니저 등의 일을 하였고, 지금은 자동차 데코레이션과 배달원으로 자신의 사업을 시작하였다. 2017년부터 다시 회화를 시작하였고 2018년부터 퍼포먼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He has a passion for painting since childhood and crafted figures from recycle materials . In his teenage years, he stopped painting and joined WYTU to study Mechatronics for two years and continued studying physics. Throughout his life, he made his living by selling flowers, being a marketing manager at a bread factory, start his own business on car decoration and also as a delivery man. In 2017, he continued painting which he stopped in his teenage years by joining New Zero art class and attended workshops over time. He studied performace art starting from 2018 and took part in performances.

Moe Htet 모 텟  (Myanmar 미얀마))

2018년 퍼포먼스 페스티벌의 자원봉사를 하며 설치와 퍼포먼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구글과 유투브를 통해 설치와 퍼포먼스에 대해 독학하였다. 우연히 작업을 발표할 기회를 얻었을 때, 퍼포먼스가 어떤 것도 두렵지 않게 만들며 독창적인 작업이라는 것을 느꼈고 그 느낌들을 사랑하게 되었다. 자연과 사회에 대한 느낌들, 정치적인 것들, 실제 삶에 대한 이슈들을 가지고 계속 작업하기를 바라고 있다.
 
In 2018, he participated as a volunteer at art festival such as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art and he started to like as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art by watching that festival. From that time, he started studying about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art at the Google and Youtube. Unexpectedly, he got a chance to create a performance artwork at New Zero Art Village. As his very first artwork, he felt a one unique thing, that is, he didn’t see and didn’t scare anything when he doing performance and I like that mood. Every performance artist will feel same as him. That feeling lead him to continue to learn regularly art workshop of New Zero. He like and wants to create the artwork with the issues which are political issues, knowledge of real life, feeling from society and pros and cons of beautiful nature.

PANDA 판다 (Myanmar 미얀마)

인간 존재에 대한 작업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여성작가로써 사회, 정치, 경제,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여성에 대한 관점에 영감을 받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기혼여성으로써 어머니로써의 고충과 힘, 사랑에 대한 것이다. 게이, 레즈비언, 남성, 여성, 어린이 등 다양한 존재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그들의 다른 감정과 갈등, 사랑들에 영감을 받는다.
 
Panda bases her creation o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nd put herself in their place. As a woman artist, she inspires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women on the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of a country and the living standards. And her works express the struggles, powers and loves of the women as a married one and as a mother. Since her interest meets the different existences of the human as the  child, man, woman, gay or lesbian, she inspires on their different emotions, struggles and loves. Those such inspirations and interest came as the works of art after her personal emotions  and artistic creation on the mankind of the earth.
You will also be presented the combination of differences in culture and tradition of her own country and other places around the world in her art works since she is always looking for the differences within her and every single thing she could see, meet and touch.



Thyitar 타이타 (Myanmar 미얀마)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며 작업하고 있고 2010년 New Zero Art Space 의 예술과정에서 수학했다. 그녀는 페미니즘과 종교적인 이슈에 관한 개인적인 인식들로 작업에 접근한다. 2011년 퍼포먼스를 시작하였고 미얀마,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부산, 베트남, 독일, 필리핀 등지에서 다수의 페스티벌과 전시에 참여하였다.
 
She is working as multidisciplinary artist. She finished her art study at New Zero Art Space in 2010. She approaches individual perception upon feminism and religious issues and composes her options to the artist creations. She's also a performance artist. She started performance art at 2011. 2011 Asia-Nippon Performance Art Exchange at New Zero Art Space Yangon Myanmar, 2012 International Multi Media art festival, Yangon, Alliance Françoise, Performance workshop by Elivera Santa Maria Torres and Gender under reflection performance event, New zero art space, 2013 Asia Nippon performance art exchange festival at new zero art space in Yangon Myanmar, Silent people or believers performance & conceptual Art Exhibition, 2014 Malaysia- Myanmar Art Exchange, ‘Logical sickness’ performance art show with Thailand artist,2014 WATAGATA ART FESTIVAL in Busan < Art+Pass+Port: About Opportunity >.2015 NIPPON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in Japan.2016 NIPAFF Asia Performance Art Work shop in Vietnam. 2017 Field of vision  Performance  Art festival in Germany. 2018 SIPAF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in Philipines. 2018 Field of vision  Performance  Art Exchange Program in Chaing Mai .2019 Real Now !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in Germany. She participated in several group exhibitions and performance art events.

Naw Nan Noan Hom 노 난 노안 홈 (Myanmar 미얀마)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에 관심이 많았다. 2009년 New zero art space 에서 어린이 예술학교를 수료했고 2016년 West Yangon university 를 졸업했다. 현재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에서 영어와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다. 다양한 매체들을 사용하면서 계속 작업하기를 바라고 있다.
 
I am interested in art since I was a child.I studied at summer child art class of New Zero Art Space in 2009. I graduated B.Sc. physics from West Yangon University in 2016. I am currently studying English major specialize at Liberal Arts Program and also studying Diploma in Japanese Language at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In 2017, I attended the 10th art class of New Zero Art Space and I participated in 10th The Exhibition of Accomplishment at New Zero Art Class in 2018. I participated as a performance artist in Zero Platform International Performance Art Festival II (2018). I participated at Divergence Conceptual Art Exhibition (2018). I was the assistant of Thailand Artist Narongyot Thongyu and Mexico Artist Elvira Santamaria’s projects in Myanmar, 2019. I am planning to show my art works to public by using any medium that will be depend on concept.

PhooPwint 푸 핀 (Myanmar 미얀마)

나는 존재한다는 것에 관심이 있다. 미물일지라도, 존재의 이유가 있다. 나는 그러한 존재 안에서 내 자신과 사람들, 세상의 느낌들을 분석하는 것을 사랑하고 그 부분들을 작품으로 창조한다. 그 느낌과 더불어 예술작업이 바탕이 되는 현실도 사랑한다.
 
 I am interested in existence. Even it is so tiny, it has its reasons to become existed, to be in existence, and to be existed. I really love to analyze self feeling, people's feelings and the world's feeling within those existences, then combine them into an artwork. Apart from feelings, I also love to create and make reality based artworks.



Kaung Myat Thu 코응 맷 투 (Myanmar 미얀마)

그의 창작의 바탕은 자신이 느끼는 것들이다. 존재로써의 자신과 자신이 원하는 환경과의 연결, 살아가고있는 나라의 상황과 자신이 희망하는 미래에 관한 것들이다. ‘정치적’인 것의 영향 아래서 창작을 원하지는 않지만 그의 나라에서 그에게 주어진 자연과 교육, 삶과 함께 하기를 바란다. 그의 감각적인 관점은 순수하고 정직하게 느끼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의 물질들을 자신과의 대화로써 사용한다. 그는 내면의 대화를 해석하고 지구상에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에 예술로써 말을 거는 방법을 찾고 있다.
 
Primary source Kaung Myat Thu create his own art is creation of what he senses with art. His creations mainly exist in being himself and it’s connecting to the environment he wanted to be in, the future he hope for and the situations of the country he living in. He is the ones who does not want to work his art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 but the mother nature, education and living given him by his country. His sensational point of view is presenting a base or what he senses innocently and frankly. He is strongly interesting in his own communication and translation to himself when the action comes to him and how he reacts this. And he uses the materials in his environment those can be the interpretation of his dialogues to himself. He is the one who is trying to interpret his inner dialogues and finding if he can speak to all living things on the earth by art.

Khaing Su 카잉 수 (Myanmar 미얀마)

나는 여성 안에서 작업하고 영감받는 내 몸을 사용한다. 내가 살아가는 환경에서는 여성들이 존중받지 못한다. 남자들로부터 오는 가족문제에 대한 불평, 비존중의 시선들, 여성에 대한 가쉽들이 내 작업의 부분들이 된다. 여성 안에서 한 여성으로써의 나, 여성으로부터 온 한 여성으로써의 나는 내 몸을 영감받고 창조적인 것으로써 사용한다.
 
I use my own body inspired and create my art works in the women. as a woman in our society who is living and surrounding in the society with the less respect to the women. My responds to the actions came to me as the family problems blaming and unrespect eyes from the men and the whispering gossips from the women in my surrounding become my pieces of arts.
I inspire my sense of art of art as a mother growing her child in the mess of the family problem with no strength to fight back to all those nearest enemies in home but keep growing her child to the better then her and her enemies. I as a woman in the women i as a woman from the women i use my own body to inspire and create my art.

Femicology in Myanmar 페미콜로지 인 미얀마

2019.10.26. Performance. PM 2. New zero artist village.
2019.11.2-11.9 Exhibition.
Opening. 11.2. PM 4. New zero art space. Yangon, Myanmar
 
+ Participating Artists 참여작가 +
 
Khaing Su 카잉 수 (Myanmar 미얀마)
Kaung Myat Thu 코응 맷 투 (Myanmar 미얀마)
Phoo Pwint 푸 핀 (Myanmar 미얀마)
Naw Nan Noan Hom 노 나 노안 홈 (Myanmar 미얀마)
Thyitar 타이타 (Myanmar 미얀마)
Panda 판다 (Myanmar 미얀마)
Moe Htet 모텟 (Myanmar 미얀마)
Samu Rhyme 사무 라임 (Myanmar 미얀마)
 
Produced by Yeonjeong 연정 (기획, Korea 한국)
Supported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New zero art space.
Coordinated by Thyitar (New zero art space )
Managed by Chaw Chaw (New zero art space )